선정대학 소개 (자료 및 영상)

선정대학 소개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는 지역 상생 SW인재 양성


교육체계 혁신 및 제도 개선

  • SW융합대학 신설
  • 전교생 SW역량 의무화를 위한 HBSW 마이크로디그리 운영
  • 현장중심 혁신 SW교육환경 구축

SW전공교육 강화

  • 인공지능, 빅데이터/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AR/VR 기반 첨단 SW 전공교육
  • 산업체 요구 학생역량관리를 위한 Active직업DB 기반 한밭미래설계시스템 운영
  • 한밭 오픈소스 SW 라이브러리 운영을 통한 실전문제 해결형 오픈소스 SW교육
  • 산학 문제 해결을 위한 상시 접수형 한밭 SOS(Solution of Software) 플랫폼 구축

SW융합교육 확대

  • SW 융합전공 확대 및 모든 비SW학과의 SW융합교육 실현
  • 우수 SW융합전공의 학과 설립 추진으로 단계적 SW 정원 확대
  • 기업설계전공을 통한 기업주도의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

교육성과 공유 및 확산

  • 현장실습매칭허브 구축 및 공유를 통한 광역 대학 및 산업체 간 상호협력 선도
  • 초중고교 SW지원단, 교사-교수 협력연구회 등의 온·오프라인 전주기 교육 지원
  • 학생 창업도전 시뮬레이션 과정 도입으로 SW 성공창업 지원



AI for Everything  실현을 위한

ABC 역량을 갖춘 인재양성


교육체계 혁신 및 제도 개선 

  • AI융합대학 및 인공지능학과 신설 
  • 정출연, 국내외 산업체, 실리콘밸리 전문가로 구성된 AI 특임교수 및 멘터 임용 
  • CNU Data Station 구축을 통한 데이터 엔지니어 양성 
  • 바이오AI 융복합분야의 AI 특성화 대학원 연계 

SW전공교육 강화

  • 프로젝트 중심 교육PCL)체제 구축
  • SW 전공트랙 신설 및 이수 의무화
  • 자가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SW학습 문화 확인(모각코, 모각공)
  • 언택트 교육환경 확대 구축(코딩실습플랫폼)
  • 글로벌인턴십 시즌2 운영 및 개방

SW융합교육 확대

  • 산업체 수요를 반영한 융복합인재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 전교생 대상 SW기초 교육 의무화 
  • AI융복합 연계전공 운영 
  • AI, 빅데이터 분야의 나노학위과정 신설 및 운영 

교육성과 공유 및 확산

  • 대전·충청·세종권역 SW교육모델 확산
  • SW중심대학 교육 콘텐츠 공유(CNU SWMOOC)  
  • SW중심대학 우수 프로그램 참여 개방 
  • 대전·충청·세종권역 AI교육기관과 협력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웰라이프 신기술 수요에 부합하는

 AI·SW혁신인재 양성 및 대학생활

- 실습 BLEP 구축


교육체계 혁신 및 제도 개선

  • 웰라이프 생활-실습형 BLEP (Bigdata-based Living lab Education Platform) 구축
  • 순천향 고유의 RAINBOW 소프트웨어 교육 플랫폼 구축
  • SW 특기자 전형 신설 (10명) : 전원 4년 전액 장학금 지급
  • 전교생 SW 기초교양 필수화 : 2과목 5학점

SW전공교육 강화

  • SW융합대학 공통교과목 (SW-Core)으로 19개 교과목 지정
  • 전공 이수학점 전국 최고수준으로 상향 : 85→93학점
  • 'AI·SW전공역량 졸업인증제’ 및 ‘산학필수 이수제’ 신설하여 졸업요건 강화
  • 실습 교과 비중 확대(47.5%) 및 프로그래밍 교과 ABF제 도입
  • 산학연계 강화 : 산학협력중점교수, 산업체 전문가 교수 임용, 비즈니스 Fellow 제도 운영
  • 라이브 코딩 테스트 환경 구축, 빅데이터 기반 AI 교육 강화, SW전공영어 교육 강화
  • 오픈 소스 교육 강화 : 교과 신설, 전용 실습실 구축, 동아리 활성화, 프로젝트 기반
  • 기업체 니즈를 반영한 장기 인턴십 확대
  • 매년 양질의 빅데이터, AI 전문인력 275명 양성

SW융합교육 확대

  • 충남특화 심화트랙 신설 : 스마트에너지, 자율주행모빌리티, 지능형정보통신, 전자소프트웨어
  • 웰라이프 특화 연계전공 신설 : AI바이오융합, AI웰니스스포츠, 스마트물류, 데이터비즈니스
  • AI·SW융합교육 확산을 위한 나노디그리 제도 신설 및 자기주도설계전공 확대
  • 매년 양질의 각 전문 분야 SW융합인재 150명 양성

교육성과 공유 및 확산

  • 순천향 고유의 혁신적 교육 플랫폼인 WIU(NAVER와 공동 운영)를 통한 성과 확산
  • 소외 지역 중학교를 ‘SW명문 중학교’로 육성하여 성과 확산
  • 기존 SW중심대학의 사업과 프로그램 분석 → 협력 분야 도출 → MOU 체결 완료
  • 교육성과 창업과 취업으로 확산 : 전주기적 창업(창직) 지원, Life-long 진로 취업 지원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AI융합시대를 선도하는 

창의적 SW인재양성


AIM(AI Inventor & Maker) High를 위한 대학혁신

  • AI융합교육원 및 AI융합대학 설립
  • AI융합 친화형 학사제도/AI분야 우수교원 초빙
  • AIMing Space 구축

AIM to be Specialist(AI · SW역량과 사고를 확산하고 행동하는 인재양성)

  • AI기반의 SW전공교육과정을 위한 트랙전면 개편(인공지능트랙, IoT트랙, 정보보호트랙)
  • 기업연계 In&Out 문제해결형 교육과정 구축/ 전공 트랙제 신설/정원확대

AIM Together(AI〮SW융합교육 중심으로 대학전체 교육과정 전환)

  • AI · SW연계전공 신설 : 스마트팩토리, 스마트모빌리티(2개 연계전공)
  • 대학 전체 단과대학별 AI〮SW융합트랙 설치 : AI경영컨설팅융합트랙(경영대학) 등 5개트랙
  • 학생 수요 맞춤형 이수제도 확대 : 나노디그리

AIM-er(학문 분야 특성을 반영한 기초교육과정 수립)

  • 입학 전 AI · SW 선행학습 교육 프로그램(Hoseo Flying)운영
  • 전교생 AI · SW기초교육 필수 – 최대 18학점 이수 가능

AIM for All(개방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지역 AI · SW가치혁신 기여)

  • 충남교육청과의 협력을 통한 교사 및 학생 교육 프로그램 운영
  • Code club@Korea 등을 통한 지역사회 협력 및 교육 봉사
  • 교내 평생교육원과의 연계를 통한 지역사회 AI문화 및 인식의 확산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초연결 인공지능사회선도
Ai-융합 인재 양성


전교적 AI·SW중심 교육체계 혁신

  • 입학 전 모든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PCU예비대학”을 통한 SW의무교육
  • “SW안항교육”을 통한 그룹 단위와 SW직무역량 강화 및 검증
  • 전교생에 대한 SW기초 필수 교양 교과목 6학점 운영
  • 배재구성원에 대한 SW기초교육 의무화




초연결 인공지능 사회 AI·SW리더 양성 

  • AI·SW전공자 1,000명 양성
  • “AI·SW집중학기제” 등을 통한 몰입형 교육과정 운영
  • SW우수역량 학생을 선발하여 특별 교육함으로써 상위 5% 인재로 양성하는 SW사관학교 프로그램운영
  • AI·SW기반 산업의 혁신 성장을 위한 “지능SW학·석사 연계전공“ 신설




산업수요 맞춤형 AI·SW인력 양성 

  • 캡스톤디자인, 산학프로젝트, 학생 주도의 PBL 수업 등 문제 해결형 교과목 대폭 확대
  • SW현장미러형 실습실, 창의 공작소, 메이커스페이스 등 공간을 적극 활용한 현장밀착형 실습 과정 확대
  • 산학협력선도위원회와 교과 공동 개발 및 지식·기술의 공유




AI·SW 가치확산을 통한 지역사회 성장 선도

  • AI·SW 공헌 헌장 제정을 통한 재능나눔SW봉사단 및 배재 글로벌IT대사 양성 지역 IT협력 봉사 및 지역 사회 공헌
  • 지역사회에 대한 찾아가는 SW교육 및 4차산업혁명을 주도하는 AI·SW 기술 체험을 제공하는 방문형 PCU-SWBus(순수 교비 추가 투입)운영
  • 취업자에 대한 4차 산업 직무능력 재교육 및 초중고 교사 대상 SW 교육 등




일평생 업그레이드 하는 전주기적 SW교육 지원

  • 기업수요 맞춤형 AI〮SW 역량강화 플랫폼을 통한 전주기적 SW교육 지원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4차산업혁명 시대의
지능SW융합 파워플랜트


지능SW융합 인력 양성을 위한 SW교육체제 혁신

  • 지능SW융합학군 및 산업지능SW융합 심화트랙 6개 운영(지능형 SW, 빅데이터, 산업 AI, 지능형 IoT, 임베디드 AI, 지능로봇 SW) 
  • 입학정원 확대(210명 → 247명) 및 SW우수인재 학생부 전형 신설(정원 30명)
  • 7-Up SW교육혁신모델(Catch-UpⓇ, Keep-UpⓇ, Base-UpⓇ, Grow-UpⓇ, Engage-UpⓇ, Solve-UpⓇ, 創-Up)의 개선‧확산

산학연계 교육 및 창업교육 체계 강화

  • 1인 1 가디언 제도 운영(현장전문가의 학업 전주기 진로탐색·직무역량·현장문제발굴·인턴십· 창업주제 평가 및 지도 참여)
  • 체인형 창업교과목 트랙 운영

전교생 SW 역량강화 및 SW융합 연계전공 보장

  • SW융합전공 전교생 수강 100% 보장을 위한 EASY 코스 운영
  • 9개 지능SW융합 연계전공 · 학생설계 SW융합전공 · SW융합부전공 과정 운영

지역공동체의 SW 리터러시 강화 및 SW가치 창조 공동체 선도

  • 충북SW융합교육원 설립
  • 초중등 · 일반인 · SW 교육 사각지대 의 SW리터러시 강화를 위한 SW 캠프 등 교육프로그램, SW봉사단 운영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글로벌 SW인재 양성


SW융합대학 신설, SW전공 2개 증설, SW전공 입학정원 120명 증원

  • SW융합대학 신설(‘19년) → 철도SW학과 신설(‘21년, 40명), 미래기술학부 SW전공 개편 (‘20년, 60명), 영상콘텐츠전공 개편(‘19년, 50명)
  • SW분야 교원을 40명에서 93명으로 증원(132% 증가)
  • SW전공 입학정원 160명에서 280명 증원 → 180명(‘19년), 240명(’20년), 280명(‘21년), SW특기자전형 신설(‘20년 입시 적용)

글로벌 SW교육, SW교육·연구 인프라 구축, 산학협력프로젝트 의무화, 오픈소스 교육 강화, SW전공 맞춤형 영어교과목 3개 개설

  • 해외 협력대학과 우송가족기업 우송네트워크파크 구축
    - 해외 공동연구, 취업 및 인턴쉽 지원
  • SW융합관, SW창업관, XR센터, 빅데이터보안센터, 영상기술센터 신설
  • 산학협력프로젝트 의무 참여(SW전공 3~4학년), 프로젝트 집중형 SW수업(1년4학기제 기반), 오픈소스SW 교육 강화
  • 해외 Alliance대학과 학생교류 및 공동교육과정 운영
    - 노스웨스턴대학, 오까야마대학, 북경이공대, 인도 IIT Hyderabad, 조지아텍 등

전 신입생의 입학 전 SW교육, 비전공자 전원 SW기초교육 필수화, 대학 특성화 분야별 SW연계/융합부전공 개설

  • 전교생 SW교육 단계별 6학점 의무화
    - ’19년 48.5% → ‘20년 75.9% → ’21년 100%
  • 입학 전 교육인 Sol-Sup에 SW교육 추가(‘19학년도 시행)
  • 대학 특성화분야 SW연계부전공 운영
    - 외식산업SW, 철도SW, 비즈니스SW, 보건의료SW, 데이터 애널리틱스SW, SW전공생 멘토링을 통한 전공별 SW융합 교육
  • 취업연계 산업체 주문형 SW특별교육프로그램 운영
    - 우송비트교육, LG CNS 협력사 스마트팩토리 EOD, 반응형UI/UX, 드론융합, 3D프린팅, 영상VFX 등

‘SW봉사단’ 발족, 청소년, 일반인(사회적 약자) SW교육 봉사, 지자체 연계 특화프로그램 운영

  •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신산업융합 분야 (디지털콘텐츠,인지과학,정보보호,바이오데이터)로 융합 특성화
  • 고교SW동아리 경진대회 (연1회), SW비전캠프(청소년대상, 연3회), SW창업특강(은퇴자, 경력 단절자 대상), 치매예방SW놀이(고령자 대상), 인근 고교 SW동아리 대상 SW교육 등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기업친화적 소통형 SW인재 양성을 통한
4차 산업혁명 견인 


SW중심대학 지원체계 구축, 대학차원의 혁신

  • 구조개편
    - SW융합대학 신설(2019) 및 SW융합관 개관(2018)
    - SW융합교육원 설치 운영(2017) 및 SW교육지원센터와 SW가치확산센터 신설(2019)
  • SW교육 강화
    - 컴퓨터공학부 증원(111→120명), 글로벌소프트웨어학과 신설(40명)
    - SW융합전공 2개 신설(2019): SW융합경영전공, 스마트제조 SW융합전공
  • SW특기자 선발
    - 소프트웨어 인재전형 신설(‘19학년도 입시적용, 30명 선발), 첫 학기 전액 장학금

기업친화적 소통형 SW전문 인재 양성 / 데이터사이언스 기반 SW융합 인재 양성

  • SW-Doctors
    - 기업친화 실전적 SW개발을 지도하는 산업체 전문가, 현장실무 노하우 전수 및 취업지도, 2017년부터 시범운영 중
  • 몰입형 SW 교육과정
    - 교과목 수강 없이 SW개발 몰입학기(3학년 2학기), 예비자과정(180h 이상) +정규과정(880h 이상), 총 18학점 이수과정
  • I-Project 및 취업중점학기제
    - I-Project: 총 5과목 필수(15학점), 플립러닝 기반 오픈소스SW 활용 프로젝트 수행
    - 취업중점학기제: 산업수요 반영 교육과정과 취업 연계 프로젝트 수행
  • 산업체 관점 역량평가 체제(SW역량 인증제) 구축

글로컬 SW역량 강화 및 글로벌 IT한류문화 조성

  • 오프라인: ST@R EDU
    - 1인 1SW 만들기 운동, SW교사 양성교육(특수교육 연수기관), 정보소외 계층을 대상으로 SW와 인성교육, 데이터 리터러시 특화 프로그램 운영
  • 온라인: ST@R EDX
    - IT한류문화 조성: 글로벌선문IT대사 활용, 글로벌 선문IT콘텐츠(15개언어) 개발운영
    - 개방형 온라인 SW교육 플랫폼 구축, 원격 SW클리닉 운영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세계 SW산업을 이끌어 가는 인재양성


SW교육 내실 강화를 위한 교육 체제 및 교육 방법 개편

  • 전산학과, 정보보호대학원, 웹사이언스대학원, SW대학원프로그램을 통합하여 전산학부(School of Computing)를 중심으로 KAIST 전체 프로그래밍 교육 강화
  • 전공교육 강화를 위하여 심화전공/자유융합전공/부전공/복수전공 중 반드시 택일토록 함 졸업 이수학점을 130학점에서 136학점으로 확대
  • 실습중심의 교육 구현을 위하여 대규모 상호대화식 실습지원 플랫폼을 활용한 Massive Online Open Programming 실습 교육 실시
  • 클라우드 교육·연구인프라 구축을 위한 (가칭)클라우드 기반 교육 혁신




SW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체계 활성화

  • 비전공자 SW관련 과목 이수 요건을 9학점으로 강화
  • SW 특기자 전형 실시를 통한 SW인재 선발 및 지원)
  •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창업 교육 강화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사단법인 소프트웨어중심대학협의회

[04109]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28 (신수동)

Tel. 02-2078-2902 | Fax. 02-2078-2903

Copyright ⓒ 소프트웨어중심대학협의회. 

All Rights Reserved.


사단법인 소프트웨어중심대학협의회

[04109]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28 (신수동)

Tel. 02-2078-2902 | Fax. 02-2078-2903

Copyright ⓒ 소프트웨어중심대학협의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