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대학 소개 (자료 및 영상)

선정대학 소개

100년 교육을 잇는 CEO형
글로벌 SW인재양성


(교육체계) 소프트웨어융합대학과 소프트웨어융합학과 신설(`20년 3월)

  •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165명)와 인공지능·빅데이터공학과(40명) 명칭변경, 소프트웨어융합대학으로 편제변경, 소프트웨어융합학과(40명) 신설(총 245명 SW전공자 양성), 전임교원 27명에서 50명으로 확충

(전공교육) 4차 산업혁명 핵심 CEO형 SW인재 양성

  • 4차 산업혁명 분야에 대응하는 스마트IoT 등 9개 전공(트랙) 과정 신설
  • ACM/IEEE 커리큘럼 레퍼런스를 반영한 전공(트랙)별 교육과정 혁신적 개편 및 산업계 수요 맞춤형 실무교육과정 도입(신설교과: 48.5%)
  • SW전공자 산학연계교과 4과목(8학점) 필수화(연구실인턴창업프로젝트→SW창의설계1→단기인턴→SW창의설계2)
  • 오픈소스교육센터 설립을 통한 오픈소스SW 활용 교육 강화(49.4% 교과에 적용)

(융합교육) SW기초교육 강화 : 교양필수를 넘어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로

  • 전교생 소프트웨어 기초교육 필수화(공통필수 `문제해결과컴퓨팅적사고‘ 2학점, 계열필수 2학점, 전공별 맞춤형 학과선정필수 2학점)
  • SW융합교육원 신설, SW연계(4전공)/SW융합전공(9전공) 신설 및 융합교육 강화 (SW연계전공 : 엔터테인먼트SW, 핀테크SW, 스마트시티SW, 인간증강SW)

(가치확산) SW가치확산센터 신설 및 SW교육봉사단 발족

  • 초·중등생 대상 ’SW융합코딩교실‘, 취약계층 청소년 대상 ’찾아가는 SW캠프‘, 경력단절여성 대상 ’방과 후 SW교사 양성 교육‘ 등 실시
  • 개방형 온라인 교육 플랫폼(28강좌 탑재) 운영을 통한 SW가치확산 극대화

(글로벌 창업) 창업제도와 창업교육의 혁신을 통한 SW창업 활성화

  • SW창업지원센터 신설과 창업친화적 학사제도(창업대체학점제, 창업휴학제 등)의 지속적 개선을 통한 학생 SW창업 활성화
  • 글로벌 멘토링→글로벌 창업인턴십→글로벌 엑셀러레이션 프로그램→현지화 및 투자유치에 이르는 체계적 글로벌 SW창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SW중심사회를 통한
제주 스마트 아일랜드 구축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미래 SW 가치를 디자인하는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


(교육체계) 4차산업혁명 선도 인재 양성을 위한 SW융-복합 교육체계 구축

  • 4차산업혁명 선도 특성화 분야로 스마트농생명, 한방헬스케어, 스마트 금융, 콘텐츠미디어 선정
  • 4대 특성화 분야별 인력 양성을 위한 SW융합학과(40명) 및 연계전공 신설
  • 특성화 분야 기반 교육을 위한 전공 트랙 신설
    - 컴퓨터·소프트웨어공학과 :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지능형 시스템
    - 디지털콘텐츠공학과 : 게임, 실감형 AR/VR/MR
  • 전교생에 대한 SW기초교과목 이수의무화

(전공교육) 트랙 중심 교육과정 개편을 통한 실전형 인재 양성

  •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지능형 시스템, 게임, 실감형 AR/VR/MR 분야 등 SW전문인재양성을 위한 트랙 중심 교육과정 운영
  • SW 전공 졸업인증제 신설: SW등록, OSS 단계별 이수, 산학협력프로젝트 참여 의무화
  • 5년(3.5+1.5)과정의 3개 학사-석사 연계 전공트랙 운영을 통한 SW심화교육
  • 해외 인턴십 운영으로 글로벌 취·창업 전문교육 강화
  • WK-SW 프로젝트 연계 플랫폼을 통한 산업연계 교육강화, 1학과 1창업 프로그램, 창업역량인증제를 통한 창업선도 교육 지향

(융합교육) 모듈형 교과 운영을 통한 SW융합 촉진

  • SW융합 연계전공의 체계적 이수를 위한 참여학과 교과목 모듈화
  • 의학계열을 포함한 전교생 SW교과 이수 의무화 (4학점 이상)
  • 학생 참여와 체험을 중시하는 SW공작실 활용
  • SW융합 연계전공 관련 기업과의 취업연계(약정)형 산학협력체계 구축

(가치확산) 취약계층 및 일반인 대상 SW교육 실시

  • 취약계층 SW기초소양 함양 및 SW우수인재 발굴을 위한 SW캠프 운영
  • SW교육 성과확산을 위한 지역방송 SW프로그램 제작 및 송출
  • 초ㆍ중ㆍ고 청소년 및 일반시민(스마트팜 영농인) 대상 SW교육 진행: WK-MOOC를 활용한 SW교육 콘텐츠 제작 및 보급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글로벌 SW인재 양성


SW융합대학 신설, SW전공 2개 증설, SW전공 입학정원 120명 증원

  • SW융합대학 신설(‘19년) → 철도SW학과 신설(‘21년, 40명), 미래기술학부 SW전공 개편 (‘20년, 60명), 영상콘텐츠전공 개편(‘19년, 50명)
  • SW분야 교원을 40명에서 93명으로 증원(132% 증가)
  • SW전공 입학정원 160명에서 280명 증원 → 180명(‘19년), 240명(’20년), 280명(‘21년), SW특기자전형 신설(‘20년 입시 적용)

글로벌 SW교육, SW교육·연구 인프라 구축, 산학협력프로젝트 의무화, 오픈소스 교육 강화, SW전공 맞춤형 영어교과목 3개 개설

  • 해외 협력대학과 우송가족기업 우송네트워크파크 구축
    - 해외 공동연구, 취업 및 인턴쉽 지원
  • SW융합관, SW창업관, XR센터, 빅데이터보안센터, 영상기술센터 신설
  • 산학협력프로젝트 의무 참여(SW전공 3~4학년), 프로젝트 집중형 SW수업(1년4학기제 기반), 오픈소스SW 교육 강화
  • 해외 Alliance대학과 학생교류 및 공동교육과정 운영
    - 노스웨스턴대학, 오까야마대학, 북경이공대, 인도 IIT Hyderabad, 조지아텍 등

전 신입생의 입학 전 SW교육, 비전공자 전원 SW기초교육 필수화, 대학 특성화 분야별 SW연계/융합부전공 개설

  • 전교생 SW교육 단계별 6학점 의무화
    - ’19년 48.5% → ‘20년 75.9% → ’21년 100%
  • 입학 전 교육인 Sol-Sup에 SW교육 추가(‘19학년도 시행)
  • 대학 특성화분야 SW연계부전공 운영
    - 외식산업SW, 철도SW, 비즈니스SW, 보건의료SW, 데이터 애널리틱스SW, SW전공생 멘토링을 통한 전공별 SW융합 교육
  • 취업연계 산업체 주문형 SW특별교육프로그램 운영
    - 우송비트교육, LG CNS 협력사 스마트팩토리 EOD, 반응형UI/UX, 드론융합, 3D프린팅, 영상VFX 등

‘SW봉사단’ 발족, 청소년, 일반인(사회적 약자) SW교육 봉사, 지자체 연계 특화프로그램 운영

  •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신산업융합 분야 (디지털콘텐츠,인지과학,정보보호,바이오데이터)로 융합 특성화
  • 고교SW동아리 경진대회 (연1회), SW비전캠프(청소년대상, 연3회), SW창업특강(은퇴자, 경력 단절자 대상), 치매예방SW놀이(고령자 대상), 인근 고교 SW동아리 대상 SW교육 등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기업친화적 소통형 SW인재 양성을 통한
4차 산업혁명 견인 


SW중심대학 지원체계 구축, 대학차원의 혁신

  • 구조개편
    - SW융합대학 신설(2019) 및 SW융합관 개관(2018)
    - SW융합교육원 설치 운영(2017) 및 SW교육지원센터와 SW가치확산센터 신설(2019)
  • SW교육 강화
    - 컴퓨터공학부 증원(111→120명), 글로벌소프트웨어학과 신설(40명)
    - SW융합전공 2개 신설(2019): SW융합경영전공, 스마트제조 SW융합전공
  • SW특기자 선발
    - 소프트웨어 인재전형 신설(‘19학년도 입시적용, 30명 선발), 첫 학기 전액 장학금

기업친화적 소통형 SW전문 인재 양성 / 데이터사이언스 기반 SW융합 인재 양성

  • SW-Doctors
    - 기업친화 실전적 SW개발을 지도하는 산업체 전문가, 현장실무 노하우 전수 및 취업지도, 2017년부터 시범운영 중
  • 몰입형 SW 교육과정
    - 교과목 수강 없이 SW개발 몰입학기(3학년 2학기), 예비자과정(180h 이상) +정규과정(880h 이상), 총 18학점 이수과정
  • I-Project 및 취업중점학기제
    - I-Project: 총 5과목 필수(15학점), 플립러닝 기반 오픈소스SW 활용 프로젝트 수행
    - 취업중점학기제: 산업수요 반영 교육과정과 취업 연계 프로젝트 수행
  • 산업체 관점 역량평가 체제(SW역량 인증제) 구축

글로컬 SW역량 강화 및 글로벌 IT한류문화 조성

  • 오프라인: ST@R EDU
    - 1인 1SW 만들기 운동, SW교사 양성교육(특수교육 연수기관), 정보소외 계층을 대상으로 SW와 인성교육, 데이터 리터러시 특화 프로그램 운영
  • 온라인: ST@R EDX
    - IT한류문화 조성: 글로벌선문IT대사 활용, 글로벌 선문IT콘텐츠(15개언어) 개발운영
    - 개방형 온라인 SW교육 플랫폼 구축, 원격 SW클리닉 운영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産學一如 교육기반의 탈경계형
SW인재 양성


(교육체계) 트리플헬릭스형 뉴모델 SW융합대학 신설

  • SW융합대학 신설, SW융합대학 정원 230명, 교원 37명에서 45명으로 확충 (’19년 델리대학교 교수 2명 임용 : 실전영어교육, 창업지도전담)
  • SW특기자 최초입학생 23명 전원 전액 입학 장학금 지급(’20년)
  • 산학교수(기업체 임직원) 네트워크 POOL 구축 (100명) → 산학융합강좌 담당
  • 産學一如 교육체계 고도화 → 지역기여 SW중심대학 선도모델 구축

(전공교육) 産學一如 탈경계형 IAL2 플랫폼을 통한 문제해결형 SW교육

  • A학과-B학과/대학-산업체의 경계를 허무는 지역사회의 문제를 수업 주제로 선정 → 산업체-학생-교수가 협력하여 풀어가는 지역사회 문제해결형 교육 (IAL2, Industry-Academy Living LAB) 도입 
  • SW현장학기제 시행 : 캡스톤디자인 연계 현장실습 의무 수행
  • 실전 기업가정신 교육을 통한 창업문화 확산 → TU Honors Club 운영 → 글로벌 기업(아마존) 협력을 통한 SW전공 영어교육 → 창업펀드 지원(’20년 3억) → Start-Up 기업 1개 육성(’21년, 실리콘밸리) 

(융합교육) 지역전략산업 혁신형 SW융합교육 강화

  • 전교생 SW기초교육 의무화(4학점) → SW활용 문제해결, 파이썬 프로그래밍 교육
  • 6개 SW연계전공 신설(’19년)(지능기계,사물인터넷,경영,해양물류,건축설계,관광) → 4차산업혁명의 지역혁신 역량 강화 
  • TU Mashup LAB(24H OPEN) → 다전공 융합캡스톤디자인 확대 운영

(가치확산) 온라인 교육콘텐츠와 TU 메이커를 통한 Digital Language 확산

  • K-MOOC, KOCW 온라인 교육콘텐츠 확충 → 지역 디지털 리더 양성
  • 부산교육청 연계 SW교육 → SW 가치확산 프로그램 운영(초중고, 교사, 경력단절여성, 베이비부머) → SW교육을 통한 지역상생 대학책무 이행
  • 지역주민 동참 지역사회 문제해결 프로젝트 진행 → 지역 SW 커뮤니티 활성화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기업-대학 합동 문제해결형
학습을 통한 SW 인재 양성


(교육체계)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신설(소프트웨어학부, ICT융합학부)

  •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신설(‘17년 3월), 소프트웨어학부 정원 100명, ICT융합학부 정원 70명, 교원 28명에서 53명으로 확충
  • SW재능우수자 최초 입학생 26명 전원 전액 입학 장학금(’19년)

(전공교육) 온라인 산학협력 iCan 플랫폼을 통한 실전 SW 교육

  • 온라인 산학협력 플랫폼 iCan(industry Collaborated academic network)을 구축하여 현장의 문제를 수업 주제로 선정하여 산업체-교수-학생이 같이 풀어가는 산학합동 문제해결형 교육(IC-PBL, Industry-Coupled Problem Based Learning) 도입
  • Coding-Up! : ERICA 55 코딩능력인증제 도입, IU-Coop(산학프로젝트+인턴십) 의무 수행
  • Fusion-Up! : 미디어, 컬처, 디자인 기술을 SW와 융합한 ICT융합학부 신설(Interdisciplinary Computing Technology)
  • Start-Up! : One Student One Startup (OS2), SW전공자 창업교육 필수화, SW창업센터 신설, SW창업 지도 전담 산학협력중점교수 2인 신규 채용

(융합교육) SW기초 교육 강화, 신산업소프트웨어융합전공 신설

  • 전교생 SW기초교육 의무화(소프트웨어의 이해, 컴퓨팅사고와 문제해결, 이공학프로그래밍 기초), 계열별 맞춤 실무 중심 2-Step(핵심->실전) SW특화 코스 6개 트랙 운영
  • 단과대학별 맞춤형 SW융합 : 신산업소프트웨어융합전공 = 인문/사회/예체능 전공 + SW기술(‘17년부터 운영)

(가치확산) SW봉사단 발족, SW교육센터 운영

  • SW교육봉사단 중고 SW동아리지도, 청소년 코딩 캠프/경진대회
  • 현직교사 대상 SW교사 양성교육 실시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CODE형 SW인재 양성


(교육체계) 커뮤니티 지향 SW중심대학 구현

  •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신설 및 정원확대(110명 → 172명)
  • 기숙사 기반 정주형 교육·생활·창업 커뮤니티 구축
    - 소프트웨어 빌리지 및 스타트업 빌리지(365일, 24시간 운영)
  • 전교생 SW교육 확산을 위한 SW융합교육원 신설 및 스마트캠퍼스 구축

(전공교육) 문제해결 역량을 갖춘 실무형 SW 전문가 양성

  • 재단 산하 병원과 연계한 의료/헬스케어 빅데이터 특성화
  • 지역전략 SW산업 수요 기반 3개 전공 신설 및 교육과정 운영
  • 전공자 산학프로젝트 필수화 및 학부생-대학원생 도제식 교육 확대
  • Hallym Spin-off를 통한 SW 창업 활성화

(융합교육) Multi-player형 창의융합 인재 양성

  • 전교생 복수전공 필수화에 의한 SW융합역량 제고
  • 교수 겸직 확대를 통한 융합교육·연구 환경 조성
  • SW연계전공 확대
  • 다학제적 SW융합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확대 운영

(가치확산) 소프트웨어 중심사회를 선도하는 Digital Citizen 육성

  • 강원 지역 SW 가치 확산 프로그램(초중고, 성인, 취약/원격지 대상)
  • 지역 디지털리더 양성 및 디지털 문맹 퇴치 프로그램 운영
  • 지역 시민 SW 나눔 축제 및 지역 SW 커뮤니티 활성화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SOFTWARE@EVERYWHERE!


(교육체계) 스파르탄SW교육원(총장 직속) 설립

  • SW전공 301명 양성, 100%대학 현금매칭, 오픈소스SW교육센터 운영
  • 전임교원 12명 신규채용
  • SW특기자전형 21명에서 25명으로 확대 및 SW장학금제도 운영

(전공교육) 기업수요지향적 실무형 SW고급인재 교육

  • SW전공 교육과정을 기업수요지향적으로 강화(72학점→90학점 확대)
  • S4.School 이수, 오픈소스SW 활용 교육 강화
  • SW창업역량강화, 창업 시 사업화지원금 1,000만원

(융합교육) 4차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SW기초 및 SW융합 강화

  • 전교생 대상 계열맞춤형 SW교육으로 “AI 및 데이터분석의 기초” , “데이터와 사회”, “기업가정신과 행동”을 교양필수로 지정
  •  SW융합/연계전공 제도 확대(빅데이터컴퓨팅, ICT유통물류, 빅테이터, 정보보호, 스마트자동차, AI로봇, 뉴미디어콘텐츠), SW융합인증 총 48학점 이수
  • SW융합(연계) 전공 100명 이상 교육, SW 융합교과 10개 신규 개발
  • S4.School 이수를 권장하여 산학연계형 프로젝트기반 교육 강화 

(가치확산) 기존 프로그램의 확대 운영 및 지역주민 대상 SW가치확산

  • 초중고생 대상 ‘SW진로체험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운영 확대
  • SW융합형 창의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상상키움관(3D프린팅 센터)’ 확대 운영
  • 지역주민을 위한 SW가치확산을 위한 협약 체결 및 인근 초중고생 대상 ‘SW꿈나무 창의력캠프’ 실시
  • SW봉사 활성화를 통한 SW가치확산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사람중심 SW사회를 위한 SW융합
창의인재 육성


 

(교육체계) 대학 교육체계를 SW교육 중심으로 혁신

  • 부총장을 총괄책임자로 대학 차원의 SW교육체계 혁신
  • 컴퓨터공학과(63명)와 소프트웨어학과(80명)에 전자공학과 정보통신SW(60명) 전공자과정 진입(‘20년 3월)으로 총 SW전공 정원을 203명으로 확대

(전공교육) 수요자 중심 실전적 문제 해결 역량 교육

  • 기초 문제 해결 교과 ▸ 리빙랩 기반 K-Lab 산학협력 프로젝트 ▸ 인턴십 및 산학 연구 프로젝트 ▸ 캡스톤 프로젝트의 수요자 중심 실무형 교육 체계 수립, 실무형 프로젝트 18학점 필수 
  • 산업체 수요에 기반 한 동적 교과 구성을 위한 모듈 트랙제의 전면 도입, 다양한 플러스 학기제를 통한 실무역량․전문성․창업 강화과정의 3가지 커리어 패스 구성 

(융합교육) 기초SW교육 강화를 통한 SW융합교육 저변 확대

  • ‘16학년도부터 전계열 신입생 대상으로 운영중인 기초필수교양 1과목 3학점(’컴퓨팅적사고‘)을 ’19학년도 2학기부터 2과목 6학점으로 확대(‘19학년도 2학기부터 ‘프로그래밍을 통한 문제해결‘ 추가)
  • 6개 핵심 단과대학內 9개 SW융합연계전공 신설, 생명과학(농축산․바이오) 분야의 SW융합전공 집중 강화, 공학 전계열 및 인문, 경영 등 대학 전체를 아우르는 SW융합전공 강화

(가치확산) SW가치확산을 위한 SW캠프와 SW이동교실 운영

  • 지역 SW캠프 및 원격지 SW이동교실, 사회적 배려자 집중 프로그램 운영 및사회적 배려자와 SW인력양성 수혜인력간 1:1 매칭, 주 1회 2시간 이상 사회봉사 
  • SW동아리/우수자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SW경진대회를 통한 SW가치확산 노력에 대한 지원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사단법인 소프트웨어중심대학협의회

[04109]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28 (신수동)

Tel. 02-2078-2902 | Fax. 02-2078-2903

Copyright ⓒ 소프트웨어중심대학협의회. 

All Rights Reserved.


사단법인 소프트웨어중심대학협의회

[04109]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28 (신수동)

Tel. 02-2078-2902 | Fax. 02-2078-2903

Copyright ⓒ 소프트웨어중심대학협의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