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대학 소개 (자료 및 영상)

선정대학 소개

 

한국판 뉴딜 정책 실현의 전진기지 대학 실현





디지털전환시대를 선도할 실전적 인재 양성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기술과 사회혁신이 만나는

Human-Centric 디지털 혁신 인재 양성


 

교육체계 개편

  • SW 관련 전공 정원확대
  • SW 관련 학과 통합
  • 단과 대학·교육센터 설립 등 SW교육강화를 위한 대학 주도의 교육 체재 개편

전공역량 강화

  • 산업체 전문가가 참여하는 산학 프로젝트
  • 인턴십, 해외교육 등 기업체 수요를 반영한 현장중심의 전공교육 강화

융합교육

  • 융합전공 개설
  • 전교생 대상의 SW기초교육 의무 실시 등 다학제간 SW융합·연계과정 운영을 통해 SW융합인력 확대

SW가치확산

  • 초·중생 대상의 SW캠프 개최
  • 소외계층 SW 교육 지원 등 사회 전반으로 SW 가치를 확산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운영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AI·SW로 미래 Air Mobility 사회를 날다


사업목표


SW2.0 전공교육

  • SW2.0 as a fundamental shift in how we write software
  • 기존 알고리즘 방식의 SW개발역량(SW1.0)을 기반으로 하여, 그 위에 인간-AI 공존시대가 요구하는 기계학습 방식의 SW 개발역량이 더해진 전문역량
  • (SW1.0 전공기초) 기존 프로그래머가 알고리즘 기반으로 코드를 작성하는 역량 육성
  • (SW2.0 전공심화) 최신 AI ‧ SW 기술을 반영한 3개 전공 트랙(고급SW, AI, 데이터)으로 구성하고 프로젝트 중심학습과 플립러닝 교육을 통해 AI ‧ SW 전공 심화역량을 육성
  • (모듈형 전공교과) 전공심화 교과목을 핵심교과와 6개 세부주제로 모듈화하여 세부 전공 심화역량을 선택적 개발

실무형 인재양성을 위한 실전형 산학협력 교육

  • (산업체수요반영) 기업 임직원, 외부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교육과정혁신위원회’, ‘산학협력위원회’를 신설하고 교육과정 개선에 적극 반영하는 선순환 환류 체계 구축
  • (현장형교육체계) ‘이론 → 실습 → 프로젝트 → 인턴 → 취‧창업’ 체계 구축과 산학프로젝트‧인턴십 의무화
  • (산학 학석사연계과정)  ‘학부(3년)+인턴십(1년)+대학원(1년)’의 학석사연계과정 신설

전 학생의 'AI+X 이중언어인' 양성을 위한 AI+X 융합 교육

  • (입학전 AI‧SW교육) 입학 前 신입생 대상으로 SW 학습 동기부여를 위한 교육 시행
  • (AI‧SW기초교육) 현재 전교생 교양필수인 ‘컴퓨팅적사고와 문제해결’에  ‘인공지능소개’를 추가하여 全 학생 AI‧SW 기초 2과목(5학점) 이수 의무화
  • (AI‧SW 연계전공) 非SW 분야 전공생 대상의 다양한 연계‧융합전공을 AI융합학부 내 설치하고, 전체 학부(과) 대상으로 확대 운영 추진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건강한 지역사회를 위한 

SW건강과학 융합인재 양성



미래융합대학 SW관련 학과 개편 및 인원 증원을 통한 SW교육기반 조성

  • 컴퓨터·메카트로닉스공학부를 컴퓨터공학부로 개편
  • IT융합공학과, 경영정보학과를 통합하여 지능정보융합학부로 개편 및 증원
  • 지능정보융합학부를 인공지능융합학부로 개편
  • SW우수인재 선발을 위한 SW인재 전형 신설
  • 미래융합대학 입학생 전원에게 SW특성화장학금 지원
  • SW특성화 실습실 17개 증설로 총 24개 실습실 운영

본교 특성화 분야와 연계된 건강과학 분야의 실무형 SW융합인력 양성

  • ‘SW융합교육원’설립을 통한 건강과학중심의 국내 최고의 SW융합교육 시행
  • 본교의 건강과학 특성화 분야와 연계된 SW융합교육 선도 모델 개발
  • SW중독심리, SW중독재활, SW보건빅데이터 융합 연계 전공
  • 보건의료 빅데이터·인공지능 관련 이론, 경험을 겸비한 실무형 SW융합인재육성
  • 건강과학 SW융합교육 모델의 성과 공유를 통한 국내 SW융합산업의 선도 역할

SW전공생의 산학협력프로젝트 참여를 통한 실전적 SW역량 고도화

  • 산업체 중심의 SW교육과정혁신위윈회 가동을 통한 실전적 SW전공교육 고도화
  • 산업체 제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산학연계교육프로그램 실시
  • 프로그래밍 및 프로젝트 전과목에 오픈소스SW 적용 도입

4차산업 시대에 필요한 융합 사고력 함양을 위한 전교생 SW교육

  • 입학전 신입생 대상 하이브리드식 SW기초교육 시행 (온라인 + 오프라인 멘토링)
  • 계열별 특화된 전교생 SW기초 및 융합 교육 시행 (기초필수)
  • 온라인 교육 컨텐츠를 활용한 혁신적 교육방법에 대한 교육 효과 제고
  • 계열별 특화된 맞춤형 심화선택 강좌 개설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SW-AI 융합 분야를 선도하는 

글로벌 핵심 인재양성


교육체계 혁신 및 제도 개선

  • SW대학에서 SW융합대학으로 개편하여 SW-AI 교육 강화
  • SW학과(정원 100명) 외에 글로벌융합학부 신설 (입학정원 50명, 전공진입 60명)
  • 해외 대학과 맞춘 “도전학기제” 시행으로 글로벌 인턴십 및 산학프로젝트 수행 기회
  • 산업체, 지자체, 교육기관, 해외 대학, 국내외 IT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협력 체계구성

SW전공교육 강화

  • AI 교과목 강화를 위한 전공과목 체계 개편 및 오픈소스 개발자로의 교육 강화
  • 학석, 학석박 Fast-Track(7년) 시행으로 우수 인력 확보 및 고급 인재 양성
  • 실전 맞춤형 Technical Writing and Presentation for SW Developers 영어 교과목
  • 수퍼컴퓨팅센터, 비대면 원격 수업 시스템, 창업 지원 공간 등 환경 개선 투자
  • SW Incubation Center를 통한 전주기적 SW-AI 창업 육성 프로세스
  • 창업 확대를 위한 교과제도 개선, 테스트베드, 사업화, 네트워킹 및 투자유치 지원
  • 학생 능력 성숙도 모델 및 스마트 평가 시스템 개발

SW융합교육 확대

  • 글로벌융합학부를 통해 AI 모델링이 가능한 융합 도메인 전문가 양성
  • 비전공자 대상 SW와 비 IT 분야의 창의적 융합교육을 위한 융합SW연계전공 강화
  • 기존 전교생 대상 SW기초교육을 수준별 계열/전공 맞춤형 DS 교과목으로 확대 시행
  • 비전공 교원 대상 인공지능 특강 실시 및 단과대별 AI 개론 교과목 운영

교육성과 공유 및 확산

  • 실시간 Q&A, 커리큘럽 추천, AI 챗봇 지원 개방형 교육 포털 “온라인 명륜당“
  • 초∙중∙고 대상 SW-AI멘토링 및 R&E 등 연계 교육 프로그램
  • 개방형-AI-데이터 공유를 위한 온라인 장터 신설 및 킹고 코인 연동
  • 교육성과 창업과 취업으로 확산 : 전주기적 창업(창직) 지원, Life-long 진로 취업 지원
  • AI X Bookathon, 주니어/프로 해커톤, 실버넷 스쿨 등 SW-AI 가치확산 프로그램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SW혁신을 선도하는 K-안전 융합인재 양성


 

교육목표


교육체계 혁신 및 제도 개선

  • SW교육 총괄 『SW경영대학』 신설, 융합교육 총괄 『K-With 융합교육원』 설치
  • K-안전 인재양성 『국내유일 SW안전 전공』, 『국내최초 K-안전 교양』 신설
  • 『전공·융합 교수진 2배 확대』, 『산업수요 친화적 학사제도 개선』 추진

SW전공교육 강화

  • 인공지능, 블록체인보안, IoT임베디드 등 『SW 고급기술인력 243명/년』 배출
  • 전학년 참여의 가상기업 성장 프로그램인 『국내최초 SW상상기업』 운영
  • 학생이 직접 SW신기술 또는 비SW분야를 선택하는 『자기설계트랙』 운영

SW융합교육 확대

  • 『SW + 시스템, 정보, 안전, 관광 등 융합』의 『융합전문인력 600명/년』 배출
  • 스마트팩토리, 반도체장비SW 등 『경기남부권 기업 제조혁신을 위한 융합교육』 확대
  • 언제나(계절, 야간) 누구나(비SW전공) 수강 가능한 『SWAIG 교과목』 7개 운영

교육성과 공유 및 확산

  • 경인지역 30개(성균관대 등) 대학과 학점 교류 및 교재 공동 개발
  • 학교 인근 3개(동남보건대 등) 전문대에 교육 컨텐츠(사업결과물) 공유
  • 수원 소재 3개(수원하이텍고 등) 특성화고에 SW교육지원 및 진로지도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수요자 중심 교육으로 

즉시 활용 가능한 인재를 배출한다


SW전문인력의 양적,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한 지원체계 확충

  • SW학과 규모 확대, 국내 최초 인공지능학과 신설('20)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SW전공 실무능력 배양

  • 철저한 실기교육 : 4년 4만라인 문제해결 중심 코딩 훈련
  • 대규모 졸업작품 수행(3학기+2방학기간)으로 실전적 역량 제고
  • 산업체 현장 중심의 교육
  • SW와 경영학 융합 교육
  • 모든 SW전공과목 수준 맞춤형 영어강의
  • 전공 심화과정 운영(빅데이터, 스마트시스템과정 등

비전공자 SW기초교육 및 전교생 SW교육 의무화

  • 전교생 SW기초교육 의무화 및 전공별 맞춤형 교육 의무화
  • 고품질 교육방법 도입 (강의만족도 90%이상)
  • 다수의 SW융합학과를 통한 전공교육의 SW심화과정 운영
  • 학생의 수준을 고려한 SW 부/복수전공교육

SW가치확산교육

  • 초중고생, 장애청소년, 노인 대상 SW교육(SW캠프, 멘토링, 특강, 자원봉사 등)
  • 온라인 커뮤니티(SNS, 블로그, 카페)운영
  • 지자체와의 협력 프로그램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AI시대를 개척하는 

글로벌 융합전문가 양성


전공교육

  • SW 및 AI 전공 역량 강화
    - AI 융합대학 신설 및 SW 전공자 증원(70명에서 153명으로)
    - 전공과정 내 AI 트랙 확대 개편
    - SW 전공 학생은 AI 교과목 21학점 필수 이수
  • 학생 전공 역량 보장 체계 시행
    - 코딩능력인증제를 통한 단계별 수강 지도
    - SW 기초 코딩 기숙 몰입 교육 (1학년 Residential College 프로그램)
    - 클라우드 기반 SW 실습 환경과 포트폴리오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 AI SW Expert 인증제 시행

SW 융합 교육

  • 한국외대형 SW융합학과 확산
    - ELLT(English Linguistics & Language Technology) 언어융합 모델을 위시, 언어, 경영, 문화 등 3개의 SW 융학학과
    - 비전공자 계열별 맞춤형 SW기초교육을 통해 SW융합 토대 확대
  • 다학제간 AI 융합 교육 강화
    - 언어, 경영, 통계, 바이오 융합 SW+X 전공인력 양성
    - 우수한 인문계열 학생들을 위한 융복합 SW및 AI 융합전공 개설

수요자 기반 산학연계 교육

  • 실무 중심 문제해결 능력 강화
    - SW 산학프로젝트 및 AI기반 캡스톤 설계 의무화
    - AI 및 SW전공 전임교수와 산학협력중점교수, 강의중심교수 확충
    - 언어, 지식컨텐츠 분야와 AI융합교육과정 개발
  • 문제해결형 팀인턴쉽
    - SW 산학프로젝트 이수를 통한 기업 수요에 기반한 프로젝트 주제 발굴 및 분석
    - 문제 해결 역량을 갖춘 학생 팀을 구성, 팀 단위 인턴쉽 실시

교육환경 및 체계 혁신

  • 기숙 몰입교육 및 현장중심 교육
    - 1학년 전체 1년 Residential College(기숙) 입소, 영어 및 기초 SW 코딩 몰입교육 환경 제공
    - AI-스퀘어, 메이커 스페이스, AI-Zone, Coding-Zone 등 다양한 형태의 실습환경 지원
  • 글로벌 역량 강화
    - 외대 해외네트워크를 활용한 해외 인턴쉽 및 교육 지원(7+1프로그램)
    - People space를 통한 단기 인턴쉽, 네덜란드 Saxion 대학 등 연수 프로그램 지원




상세사업소개   사업단 바로가기


사단법인 소프트웨어중심대학협의회

[04109]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28 (신수동)

Tel. 02-2078-2902 | Fax. 02-2078-2903

Copyright ⓒ 소프트웨어중심대학협의회. 

All Rights Reserved.


사단법인 소프트웨어중심대학협의회

[04109]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28 (신수동)

Tel. 02-2078-2902 | Fax. 02-2078-2903

Copyright ⓒ 소프트웨어중심대학협의회. All Rights Reserved.